서스페리아

서스페리아 2018

6.91

1977년, 통일 이전의 베를린. 정신과 의사 클램페러를 찾아온 패트리샤는 무용 아카데미에 마녀들이 산다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의사는 진료 노트에 자신이 만든 괴담을 사실로 믿고 있다며 패트리샤의 이야기를 망상이라 기록한다. 한편 블랑 선생의 지도를 받기 위해 미국에서 베를린으로 건너온 무용수 수지는 무용 아카데미에 입단해 블랑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선생들은 수지를 패트리샤, 올가에 이어 마녀 마르코스에게 바칠 제물로 여기지만 블랑은 수지가 범상치 않은 존재라는 걸 직감한다. 수지 역시 블랑에게 춤을 배우며 잠재된 내면의 능력을 일깨운다.

2018

허니

허니 2003

6.35

뉴욕 브롱스 헌츠포인트의 청소년 센터에서 아이들에게 힙합을 가르치는 허니 다니엘즈는 프로 안무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여러 차례오디션을 봤지만 매니저도 연줄도 없어 매번 낙방의 고배를 마신다.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그녀의 안무 실력을 보게 된 유명한 뮤직 비디오 감독이 그녀를 찾아온다. 뮤직 비디오 감독의 후원으로 유명 가수들의 뮤직 비디오 안무를 맡으며 스타급 안무가로 떠오른 허니는 감독을 설득, 뮤직 비디오 촬영 때 자신의 학생들을 출연시키기로 한다. 불우한 환경에서 꿈을 잃고 사는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그녀에게 시련이 다가온다. 감독은 허니에게 흑심을 품고 있었고 그러한 그의 요구를 거절하자 그는 아이들의 출연 약속을 취소해 버리고 허니를 해고한다. 아이들에게 좌절과 절망 대신에 맘껏 춤을 출 댄스 연습실을 마련하여 희망과 꿈을 심어 주려고 했던 그녀의 꿈이 수포로 돌아가게 된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좌절 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자선 댄스 공연을 준비하는데...

2003

코러스 라인

코러스 라인 1985

6.24

스타가 되기 위해 브로드웨이 코러스 다원 모집에 모인 수많은 무용가와 가수들. 코러스 라인의 안무가 자크에게 오디션을 받기 위해 모여든 젊은이들은 거듭되는 테스트를 거치면서 무더기로 떨어져 나가고 수 백 명 중에서 마지막 남은 20여 명은 각자가 자기의 꿈과 인생 역정과 생각을 무대에서 이야기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후보자들이 출생지, 어린 시절, 무용수에의 꿈, 사랑의 경험 등을 이야기하는 동안 자크의 연인이며 오랜동안 뮤지컬 스타였던 캐시가 무일푼이 되어 코러스 일자리라도 얻기 위해 돌아온다. 자크와 무대 감독 래리는 무용 실력이 출중하여 코러스 속에서 튀기 때문에 안된다고 하나, 할리우드에 진출하려고 자크를 떠나던 것은, 캐시가 그에 대한 사랑 때문에 관심을 끌기 위해서였다는 것을 알고 단원으로 받아준다.

1985

밴드 웨곤

밴드 웨곤 1953

7.14

유명 영화 배우이자 댄서인 토니 헌터는 자신이 한물 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현장을 찾은 기자들도 자신보다는 여배우에게 더 관심을 쏟는다. 그러던 중 오랜친구인 릴리와 레스터가 브로드웨이 연극 한편을 제안해 오고 그는 동참하기로 약속한다. 하지만 여기에 거물 제작자인 제프리 코르도바가 합류하면서 상황은 걷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밴드왜건>은 연극인들에 관한 영화로 그곳에 만연해 있는 이기주의를 풍자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작인 <악당과 미녀>에 비해 훨씬 관대하고 애정이 넘친다. 영화의 제목 <밴드왜건>은 1931년 주인공 프레드 아스테어가 주인공으로 나온 브로드웨이의 시사풍자극이기도 했다

1953

피나

피나 2011

7.41

춤의 역사를 바꾼 천재 무용가 피나 바우쉬의 독창적인 예술세계가 시네마 거장 빔 벤더스에 의해 매혹적인 3D 영상으로 부활한다. 촬영 직전, 피나 바우쉬가 암 진단 5일만에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 작품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처하지만 그녀의 오랜 예술적 동지였던 빔 벤더스는 생전 그녀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혼신의 힘을 다해 를 완성한다. 봄의 에너지와 생명력을 폭력적인 군무를 통해 보여주는 <봄의 제전>, 인간의 갈망과 외로움을 미니멀하게 담아낸 <카페 뮐러>, 남녀 관계에서 발생되는 호기심과 욕망, 그리고 잔인함을 다룬 <콘탁트호프>, 비바람 속에서 공포와 두려움의 내면세계와 싸우며 사랑을 갈구하는 거친 춤 <보름달>, 이렇게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 4편을 통해 벤더스는 사랑, 자유, 슬픔, 갈망, 환희 등 인간의 원초적 감정들을 감각적으로 표현한다. 근육의 미세한 떨림과 땀방울은 물론 무용수들의 감정까지 생생하게 잡아낸 <피나>는 이제까지 어떠한 영화나 공연에서도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감각적이고 경이로운 시각적 여행을 관객들에게 선사한다.

2011

에브리 리틀 스텝 : 코러스 라인

에브리 리틀 스텝 : 코러스 라인 2008

6.61

브로드웨이 뮤지컬인‘코러스라인’은 세계 22개국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어 왔다. 은 1970년대와 1990년대, 그리고 2006년 재공연에 이르는 세월 동안 세대를 넘나들며 관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한 이 공연의 발자취를 따라가고 있다. 영화는 공연이 초기 아이디어 단계였을 때부터 세계적인 걸작으로 태어나는 여정을 추적하면서, 원작과 2006년 시작된 리바이벌 공연 사이의 비교, 초연 당시의 사회적 배경, 세대와 문화를 초월해서 성공을 거두는 이유를 탐구적인 시선으로 따라간다. 아울러 오디션 등 무대 뒤의 장면들과 배우들의 고군분투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2008

어느 날 피나가 말하길...

어느 날 피나가 말하길... 1989

5.50

영화는 롱테이크로 촬영된 피나의 공연 영상, 피나와 함께 리허설을 하고 있는 배우와 무용수의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며 관객을 피나의 세계로 데려간다. 그들은 짧은 인터뷰마다 “어느 날 피나가 내게 말하길…”이라는 말로 피나와의 강렬한 만남을 회상한다.

1989

갈란트 인디즈

갈란트 인디즈 2021

7.40

힙합부터 크럼프, 브레이크 댄스, 보깅까지. 30인이 펼치는 댄스 공연이 시작된다. 클레망 코지토레 감독과 안무가 뱅투 뎀벨레의 새로운 도전이자, 파리의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 사상 초유의 공연. 이 공연은 현대의 댄스와 오페라를 결합하여 장 필리프 라모의 바로크 시대 명작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을 재해석한 작품으로, 리허설부터 공연까지 인류의 모험과 다양한 정치적 세계의 만남을 보여준다. 새로운 세대의 아티스트들이 펼치는 공연이 바스티유를 뒤흔들 수 있을까? 라모는 1735년 식민지 확장 중이던 프랑스를 배경으로 '오염되지 않은 야만인(Noble Savage)'의 이야기를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을 통해 담아냈다. 2019년, 사상 처음으로 파리의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의 무대를 장악한 한 세대의 댄서들을 영화로 그려낸 필리프 베지아. 유럽 역사를 배경으로 바로크 시대의 명작을 재조명한다.

2021

Flesh and Bone

Flesh and Bone 2015

6.80

Claire, a talented but emotionally troubled dancer, joins a company in New York City, and soon finds herself immersed in the tough and often cutthroat world of professional ballet. The dark and gritty series will unflinchingly explore the dysfunction and glamour of the ballet world.

2015

Oh My Josh!

Oh My Josh! 2016

1

World-Renowned Dancer and Choreographer Josh Horner sashay his way through life.

2016

Heure de pointes

Heure de pointes 2008

1

Geneviève Guérard takes viewers inside the lives of five dancers and choreographers on the cutting edge of their profession.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