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로윈 3: 마녀의 계절

할로윈 3: 마녀의 계절 1982

5.21

할로윈 축제가 며칠 뒤로 다가온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한 남자가 누군가에게 쫓겨서 어느 가게에 도망온 뒤 쓰러진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지만, 결국 뒤쫓아온 자에 의해 살해된다. 그리고, 살인자도 석유를 뿌리고 차와 함께 폭발하는 사고가 생긴다. 죽은 사람의 딸 그린 브리지는 담당의사 찰리스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한다. 찰리스는 검사원에게 테디에게 폭발 사고 때 생긴 잔해물 검사 결과를 빼내 알려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그린 브리지 부부로 가장해서 산타 미러에 가는데..

1982

왕이 될 아이

왕이 될 아이 2019

6.20

바위에 꽂힌 미스터리한 검을 발견한 ‘알렉스’(루이스 서키스). 득템의 기쁨도 잠시, 다크포스 풍기는 마법 존재들의 공격에서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한다. 마법사 ‘멀린’(패트릭 스튜어트)은 ‘알렉스’가 미래를 구할 왕이 될 아이라 말하고, 레알 베프와 무늬만 친구였던 아이들을 모아 최악의 마녀 ‘모가나’(레베카 퍼거슨)와 싸워야 한다. 최 연 소 초딩 히어로의 탄생• 절대악에 맞서 세상을 구하라!

2019

테스

테스 1979

7.10

꽃보다 아름답고 별처럼 순수한 여인 테스는 어려운 집안 살림 때문에 부유한 더버빌 가에 하녀로 보내진다. 하지만 그녀에게 반한 주인 아들 알렉에게 강제로 순결을 빼앗기고 원치 않는 관계에 빠진다. 그를 피해 고향으로 돌아온 테스는 새로 일하게 된 농장에서 목사의 아들 앤젤을 만나 운명적 사랑을 느끼지만 지울 수 없는 과거 때문에 괴로워 하는데…

1979

악령의 밤

악령의 밤 1957

7.00

미국에서 학술회의에 참석하고자 영국 땅을 밟은 홀든은 초자연적인 것의 존재를 믿지 않는 차가운 이성의 소유자이다. 하지만 그는 마술사 캐스웰과 만나면서 자신에게 알 수 없는 저주가 드리워졌다는 사실을 차츰 깨닫기 시작한다. 믿음과 회의주의, 판타지와 리얼리티 사이의 대립과 대화를 영화적으로 풀어낸 은 투르뇌르의 영화답게 여전히 분위기가 만드는 공포로 깊은 인상을 준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여기에서는 다른 투르뇌르 영화와는 달리 악마의 존재를 실제로 보여주는 장면이 나온다는 것이다. 제작사쪽의 압력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삽입된 그 장면은, 만약 그것이 없었더라면 믿음과 모호함이란 주제에 좀더 어울리는 영화가 나오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하지만 은 그런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 볼 수 있는 투르뇌르의 후기작이다. 영국에서 만든 이 영화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해머 영화와 비교하면 투르뇌르의 특징을 더 잘 볼 수 있게 해준다.

1957

스톤헨지 아포칼립스

스톤헨지 아포칼립스 2010

4.10

어느날 갑자기 강력한 지진과 함께 용암이 분출되는 등 재난이 발생하고, 지구의 운명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라디오 디제이인 제이콥은 대재앙을 막기 위해 사건의 근원지인 스톤헨지로 향하는데…

2010

A History of Britain

A History of Britain 2000

8.11

Stretching from the Stone Age to the year 2000, Simon Schama's Complete History of Britain does not pretend to be a definitive chronicle of the turbulent events which buffeted and shaped the British Isles. What Schama does do, however, is tell the story in vivid and gripping narrative terms, free of the fustiness of traditional academe, personalising key historical events by examining the major characters at the centre of them. Not all historians would approve of the history depicted here as shaped principally by the actions of great men and women rather than by more abstract developments, but Schama's way of telling it is a good deal more enthralling as a result. Schama successfully gives lie to the idea that the history of Britain has been moderate and temperate, passing down the generations as stately as a galleon, taking on board sensible ideas but steering clear of sillier, revolutionary ones. Nonsense. Schama retells British history the way it was--as bloody, convulsive, precarious, hot-blooded and several times within an inch of haring off onto an entirely different course. Schama seems almost to delight in the goriness of history. Themes returned to repeatedly include the wars between the Scots and the Irish and the Catholic/Protestant conflicts--only the Irish question remains unresolved by the new millennium. As Britain becomes a constitutional monarchy, Schama talks less of Kings and Queens but of poets and idea-makers like Orwell. Still, with his pungent, direct manner and against an evocative visual and aural backdrop, Schama makes history seem as though it happened yesterday, the bloodstains not yet dry.

2000